“잔말 말고 파워냉방으로” 괜찮을까…삼성 연구원이 알려준 에너지 절약 ‘꿀팁’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펙셀스
펙셀스


올여름 역대급 폭염이 예고되면서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요금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꿀팁’에 관심이 쏠린다.

온라인상에서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보다 파워 냉방이 낫다”, “4시간 정도 외출할 때는 계속 켜둬야 한다” 등의 조언이 퍼졌다.

지난 2023년 삼성전자 에어솔루션 전문기술랩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시간 30분 이하로 짧게 외출한다면 에어컨을 계속 켜 두는 것이, 그 이상 자리를 비운다면 끄는 것이 전기요금 절감에 도움이 된다.

에어솔루션 전문기술랩 연구진은 에어컨을 껐다 켰을 때와 계속 작동시켰을 때의 전력 소비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30분 외출 후 에어컨을 다시 작동한 경우에는 연속 운전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5% 늘었고, 60분 외출 시에는 2% 증가했다.

외출 시간이 1시간 30분을 넘으면 에어컨을 껐다가 다시 켜는 것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제공


연구진은 “최근 에어컨 제품들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에어컨 작동을 자동으로 최소화하는 ‘인버터 방식’으로 출시된다”며 “에어컨을 껐다가 켜면 높아진 실내 온도를 다시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구형인 정속형 에어컨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꺼졌다가, 실내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최대 출력으로 작동한다. 이 때문에 정속형 에어컨은 외출 시에 꺼두는 것이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다.

또 같은 조건으로 에어컨을 가동했을 때 81㎡(약 24평) 공간에서는 45㎡(약 13평) 공간 대비 약 1.8배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솔루션 전문기술랩 연구진은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문을 닫고 에어컨을 켜는 것이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이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개그맨 김용명. tvN ‘코미디빅리그’ 방송화면
개그맨 김용명. tvN ‘코미디빅리그’ 방송화면


최근 개그맨 김용명의 유행어 “잔말 말고 에어컨 ‘파워 냉방’으로 틀어”가 화제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에어컨 ‘강력 냉방’은 초기 10~20분 정도만 사용한 뒤 일반 냉방으로 전환하는 게 효율적이다.

강력 냉방은 실내를 빠르게 식혀주지만, 일반 냉방보다 약 50~100%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루 3~4시간씩 한 달간 강력 냉방 기능을 사용하면 추가 전력 사용량만 100~200kWh에 달하며, 전기요금은 3만~10만원까지 더 나올 수 있다.

유승하 인턴기자
  • 카카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더보기
여기 이슈 뉴스
더보기
갓생 살기
더보기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