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인 ‘이 질환’으로 입원한 뒤 “음식 짜게 먹으려고 한다”
신진호 기자
입력 2025 01 26 18:03
수정 2025 01 28 10:24
배우 한가인이 기립성 저혈압으로 입원한 뒤 음식을 짜게 먹으려고 노력한다고 밝혔다.
한가인은 26일 유튜브 채널 ‘자유부인 한가인’에서 유명 떡볶이 가게 탐방에 나섰다.
한가인은 지난달 유튜브를 통해 기립성 저혈압으로 병원에 입원했던 경험을 공개했다. 그는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데 몰랐다”면서 “서 있지도 못할 정도로 컨디션이 떨어져 병원에 입원했다”고 밝혔다.
한가인은 둘째 출산 후 5년간 겪은 어지럼증이 이석증의 후유증이겠거니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다 유튜브를 보고 자신의 증상이 기립성 저혈압에 가깝다고 생각했고, 병원에 와서 치료를 받은 뒤 상태가 급격히 좋아졌다고 전했다.
한가인은 “기립성 저혈압 때문에 일어서면 피가 머리로 안 가니까 계속 어지러웠던 거다. 입원 후 약을 먹고 나니 이틀 숙면을 취했다. 밤에 잘 때 가슴 뛰는 것도 없어졌다”라며 증상이 호전됐음을 알렸다.
한가인은 최근 영상에서 떡볶이 가게를 찾아 떡볶이를 먹으며 “평소에 제가 많이 짜게 먹는 건 아닌데, 요즘에 짜게 먹으려고 한다”며 “저혈압 때문에”라고 덧붙였다.
기립성 저혈압은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해 뇌 혈류 공급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상태를 가리킨다.
기립성 저혈압은 자율신경계가 퇴행성 변화로 둔화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한다. 전체 노인 인구의 약 10~30% 정도가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겪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주요 증상으로 일어날 때 어지러움, 일시적 시야 장애, 두통 등이 있으며 심하면 실신에 이를 수 있다.
탈수로 인해 몸에 수분이 부족해지거나 심장 기능 저하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신경 및 호르몬에 이상이 생긴 경우, 고혈압 약이나 이뇨제 복용 등 다양한 유발 요인이 있다.
또 당뇨병이나 만성 알코올 중독, 류머티즘 등 만성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당수가 퇴행성 요인으로 기립성 저혈압을 겪기 때문에 완전히 예방하는 것은 어렵다.
대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생활 습관을 가지는 것은 도움이 된다. 심한 온도 차이에 노출되는 것을 삼가고, 충분한 수분과 적절한 염분을 섭취해야 한다. 한가인이 “짜게 먹으려 한다”고 한 것은 적절한 염분 섭취를 염두에 둔 것이다.
또 자리에서 일어날 때 갑자기 일어나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신진호 기자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