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세 자연임신? 매일 2시간 ‘이것’ 했더니…의사도 놀란 결과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66세에 자연임신으로 출산한 힐데브란트. 피플, NBC투데이 캡처
66세에 자연임신으로 출산한 힐데브란트. 피플, NBC투데이 캡처


66세의 독일 여성이 자연 임신으로 열 번째 아이를 출산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주인공은 베를린 벽 박물관 관장으로 활동 중인 알렉산드라 힐데브란트.

그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베를린 샤리테 병원에서 제왕절개를 통해 건강한 아들을 출산했다. 아이 이름은 필립이며, 몸무게는 약 3.3kg이다.

힐데브란트씨는 별다른 불임 치료 없이 자연 임신으로 열 번째 아이를 낳았다. 첫 아이는 20세 때 낳은 스비틀라나(46)이며, 현재까지 9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막내는 이제 두 살이다.

“하루 2시간 산책… 1시간 수영”

힐데브란트씨는 미국 NBC 투데이 인터뷰에서 “약물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임신했다”며 “대가족으로 살아가는 삶 자체가 큰 기쁨”이라고 밝혔다.

또 “평소 정기적으로 1시간씩 수영하고, 2시간씩 산책하며 아주 건강하게 식사한다”고 말했다.

산부인과 주치의인 볼프강 헨리히 박사는 “통상 고령 여성의 경우 합병증 위험이 높지만, 힐데브란트는 건강 상태가 매우 우수했다”고 설명했다.

임신부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임신부 이미지. 픽사베이 제공


“극히 드문 사례…난소 기능이 핵심”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극히 예외적인 자연 임신이라고 평가한다. 뉴욕 CCRM 생식의학 클리닉 브라이언 레빈 박사는 “60대 여성의 자연 임신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며 “정상적인 난소 기능 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미국 CDC에 따르면 2020년 기준 50세 이상 여성의 출산은 약 1000건에 불과하며, 대부분 의료적 개입이 동반됐다. 중국에서는 67세 여성이 자연 임신으로 출산한 사례도 있었지만, 이는 폐경이 지연되고 난소 상태가 40대 수준으로 유지된 덕분이었다.

고령 여성의 자연 임신 어려운 이유

여성은 대개 35세 이후 가임력이 급감하며, 45~55세 사이 폐경기를 맞이한다. 이후에는 난자의 수와 질이 급격히 감소하고, 배란 주기도 불규칙해져 자연 임신 가능성은 현저히 낮아진다. 드물게 난소 기능이 잘 유지된 일부 여성은 간헐적으로 자연 배란이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고령 임신은 임신성 고혈압·당뇨, 조산, 기형 위험 등 합병증 확률이 매우 높다. 출산 역시 제왕절개 비율이 높고, 산모 회복 기간도 길어지며 감염 위험도 커진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45세 이후 자연 임신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임신을 원할 경우 기증 난자를 활용한 IVF를 권고한다. 2023년 우간다의 사피나 나무콰야(70)는 기증 난자와 남편의 정자를 이용한 시험관 시술로 쌍둥이를 출산했다.

김유민 기자
  • 카카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더보기
여기 이슈 뉴스
더보기
갓생 살기
더보기
광고삭제